상단영역

본문영역

  • 칼럼
  • 기자명 투데이안산

풀뿌리 공동체는 민주사회의 마지막 보루(5)

  • 입력 2016.06.02 16:54
  • 댓글 0


풀뿌리 공동체는 민주사회의 마지막 보루(5)

- 새로이 출발하는 지역단위 사회복지협의체에 바란다-

복지정책의 지방화는 세계적인 추세다. 지역주민이 복지의 대상자이며 주체이기 때문이다. 복지의 주체인 정부가 아무리 인력과 예산을 늘린다 해도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효과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풀뿌리 복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현장에서의 세심한 기획과 집행의 결과, 이제는 지방자치단체마다 고유의 복지 색깔이 나타나고 있다. 활동의 주체도 행정중심에서 민관합동 혹은 민간중심으로 서서히 변화되어가고 있다.

부산 해운대구는 자생적인 동 단위 복지 네트워크를 전체지역으로 확대하여 아동·청소년의 빈곤 해결과 학교폭력, 자살 예방 등의 사업을 접목시킨 ‘해피 해운대’를 운영하고 있다. 성북구는 20개 동마다 복지협의체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발굴하는 ‘풀뿌리 복지거버넌스’를 구축한 것이다. 이들은 삶터에서 서로 인맥을 모아 활동하고 있으며 동지역의 의료기관, 학원, 제과점, 식당 등의 참여까지 이끌어내기도 하고 있다.

노원구도 ‘동 주민센터 복지허브화’를 추진해 복지행정의 주체를 구에서 동으로 옮겼다. 우선, 현장에서의 사회복지담당을 2배로 증원했다. 구청 인력을 동으로 전면배치한 것이다. 행정직은 장애인 등록 업무, 노령연금 관련 업무, 보육료 지원 등의 업무에 투입하고 복지직은 전문성을 살려 현장에 배치했다.

또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아래 ‘휴먼서비스 위원회’를 구성해 마을단위에서 사각지대를 찾고, 민간 자원을 연계하는 역할을 부여했다. 또 통장에게 복지도우미 역할을 준 것도 이채롭다. 조례에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보건복지도우미 역할 수행’이라는 항목을 추가해 통장에게 사각지대 발굴, 복지제도 홍보, 자살위험군 관리 등을 하도록 하고 있다.

민간주도형 풀뿌리 복지운동의 모범사례로 ‘관악사회복지’를 꼽고 있다. 주부 봉사자들은 이웃 사랑방이라는 3개의 재활용매장을 운영, 환경운동을 실천하며, 청년봉사자들은 동네 빵집과 분식점, 마을가게에서 나온 음식을 수거하여 소외계층에 배달해주는 푸드뱅크 사업을 하고 있다.

80대 어르신들의 모임인 은빛사랑은 도시농업을 하며 키운 배추나 상추를 동네 가게에 판매하여 수익금으로 아이들을 위해 내복을 사주고 있다. 청소년들은 주말공부방을 열어서 동생들을 위한 놀이공간을 만들어주고, 경로당에서는 동네 의사들과 직장인 자원봉사자들이 어르신들의 건강을 체크해주는 활동을 전개해주고 있다.

이러한 사례 외에도 전국 곳곳에서 주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과 활동이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비록 작은 변화이지만 ‘아래로부터의 복지’에 대한 관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풍요롭진 않아도 서로 도우며 살만한 동네,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이 일정하게 구별되지 않고, 이웃이 서로 돕고 돕는다는 마음, 이보다 더 좋은 사회안전망은 없기 때문이다. 우리 안산에서 출발하는 지역단위 사회복지협의체가 우리의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풀뿌리공동체로 자리매김하여 아름다운 꽃과 열매를 맺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