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칼럼
  • 기자명 투데이안산

쓰레기 제로의 도시, 안산

  • 입력 2017.07.19 18:12
  • 댓글 0

         4차 산업 혁명시대와 지방화 시대, 우리는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Reform Ansan 8 - 쓰레기 제로의 도시, 안산)

                                  박현규 안산희망협동조합설립자/ 논설위원

우리가 무심코 버린 음식물쓰레기 발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20조원에 달하고 있다. 무상 산후조리, 무상보육, 무상 교복, 청년수당을 지급해주고도 남을 돈이 낭비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음식물쓰레기 줄이기를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를 줄이는 대표적인 녹색 생활실천 과제로 선정하고, 2010년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원년으로 삼아 범정부 대책으로 적극 추진한 바 있다. 전체 230여개 지자체 중 분리배출 대상인 144개 시·구에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전면 시행하고 이 밖에 식품 나눔 문화를 확산하고 식재료 공급 단계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방안 등을 마련하기 까지도 했다.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들도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홍보 등을 통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식당에서 먹다 남은 음식 포장해 가져가기, 먹을 만큼만 주문하기, 남은 음식은 푸드뱅크 등을 이웃과 함께 나누기 등의 켐페인에 적극 나섰다. 이러한 종합적인 노력의 결과 2010년 하루에 1만3672톤씩 발생하던 음식물쓰레기는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11년 1만3537톤, 2012년 1만3209톤 , 2013년엔 1만2663톤을 기록했다. 그러나 환경부가 관심을 멀리하자 시들어지기 시작하더니 2014년에는 1만4174톤으로, 2008년(1만15142톤)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그 이후 증가 추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예산절감, 악취저감, 이산화탄소배출 절감이라는 3대 문제 해결 외에도 국제적인 기아문제, 무료급식소마다 줄지어서 있는 노인들의 입장을 감안해서라도 음식물쓰레기와 관련한 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지자체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컨트롤타워인 환경부가 관심이 없으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도 일부 자치단체들은 RFID기반 종량기 설치와 감량우수지역에 대한 인센티브라는 두 가지를 중심으로 감량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3대목표 등을 달성하기에는 한참 함량미달이다. 한국환경공단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전체 음식물쓰레기의 약 70%가 가정 및 소형 음식점에서 발생한다. 특히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 구성을 보면 조리과정에서 나오는 쓰레기가 68%이고, 보관 폐기 식재료가 12%를 차지며 먹고 남은 음식물은 20%에 불과하다. 결국 음식물 쓰레기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은 배출원 처리방식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이 최고의 방법인 만큼 음식물 쓰레기 처리 패러다임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부터라도 수거-소각-퇴비화 방식이 아니라 배출원에서의 음식물 찌꺼기 축소방안, 가정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활용방안 등을 통해 환경운동을 직접 실천하고 이를 통해 자녀들에게 환경을 지키는 일의 주요성과 예산절감을 교육시켜 이를 자연스럽게 실천시키는 일이야말로 최선의 해결책이다. 억지춘향이식 강요나 처벌로 올바른 문화가 만들어 질수는 없다. 브라질 꾸리찌바시의 수거보상제와 같은 제도와 일본 절약정신 등을 참고하여 대책을 강구해 나간다면 쓰레기 제로의 도시 안산이라는 목표의 달성은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